Common
- 개발자로 커리어를 정한 이유가 어떻게 되나요? 많고많은 분야 중에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시는 이유는요?
- 고등학생때 막연하게 개발자 하고 싶다.
- 처음에는 풀스택으로 하다가 프론트엔드가 더 잘 맞는거같아서+프론트엔드가 더 재밌다, 언젠가는 사업을 해보고 싶은 목표 있음
- 인터뷰이님 주변에서 가장 잘한다고 생각하는 개발자는 어떤 개발자인가요? 왜 그렇게 생각하셨나요?
- 가독성 좋은 코드는 어떻게?
- 함수는 1가지 역할
- 데이터는 단방향이 디버깅하기 좋은 것 같다.
- ⇒ 흐름을 쉽게 알 수 있다.
- 잘 짠 코드는 어떤 코드일까요?
- 생각하지 못했던 방식으로
- 깔끔하고, 딱보면 쉽게 이해된다
- 프로덕트를 개발할 때 속도와 완성도,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긴 힘든데 어떤게 더 중요할까요? 다른 것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는요?
- 가독성 vs 퀄리티
- 사용자가 봤을때 심리적으로 느린게 아니면 가독성을 중시
Pre-Assignment
- 실제 개발 시간이 총 몇시간 정도 소요됐나요?
- 20~30시간
- 어떤 작업에 몇시간을 사용하셨는지 알려주세요.
- markup - 6~8시간
- main page - 5시간
- detail page - 1~2시간
- 난이도는?
- 프로젝트를 작성하시면서 어느 부분이 가장 오래 걸리셨나요? 가장 오래 걸린 이유는 무엇인가요?
- markup 제외 infinity 스크롤 부분
- 요구사항에 맞춰서 개발하려고 하니까
- 스크롤시 스켈레톤 → 처음 시도한 방법에는 버그가 있어서
- 요구사항 중에 애매하다고 느꼈던 부분이 있으신가요?
- 메인 페이지 로드했을때 인피니티 스크롤부분에서 스켈레톤, scroll memorization 부분은 제외
- 저희가 프로젝트 진행에 요구한 스택 중 처음 사용해보셨던 게 있으신가요?
-
vite
- styled component에 대해 아시나요? → 안다면 어느때 styled component를 사용하고 어느때 pure in-js style을 사용하면 좋을까요? (components/ui/tag)
- 스스로 생각했을때 ‘이 부분은 이렇게 짤걸’하면서 아쉬웠던 부분이 있나요? 그 이유는요?
- 변수명
- antd 라이브러리의 방식대로 만들었는데 요부분을 일반적인 방식으로 짰으면
-
스스로 생각했을때 ‘이 부분은 잘짰다’ 이라고 생각한 부분이 있나요? 그 이유는요?
- pages/main/main-positions, pages/main/main-position-card에서 memoization으로 컴포넌트를 리턴한 이유는 무엇인가요?
- hooks 폴더를 components 폴더 안에 넣으신 이유는 무엇인가요?
- components를 재사용 가능한 부분이라 생각해서
- 커밋을 나눈 기준
- 기능별로 구분
- 협업시에는 브랜치 파서 머지하지 않을까
커밋을 어떤 기준으로 나눴는지 설명해주세요.